분류 전체보기15 [JAVA] Garbage Collection / 가비지 컬렉션 이란? 첫 CS 관련 글로자바의 Garbage Collection이 당첨되었다. 🧐 Garbage Collection 이란?직역하면 '쓰레기 수거' 인데다,dev 세계관에서 "쓰레기 == 쓸데없이 메모리를 잡아먹는 무언가" 까지는 문제없이 받아들여진다.쓰레기(역할이 끝나버린 객체)를 청소부(Garbage Collector)가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일련의 과정을 바로 Garbage Collection(이하 GC) 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GC가 언제 어떻게 왜 사용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그 전에,Garbage Collectoin을 이해하려면 힙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다.객체를 만들고 GC가 필요해지는 상황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함께 해볼테니 마음을 단단히 먹어보자 목차1. 힙 & 스택2. 힙의 구조3... 2025. 7. 31. 여행 프로젝트 2탄 - 구글 검색 API 를 활용한 검색 데이터 활용 (Google Custom Search API) 여행 프로젝트 1탄 - DB 설계, 생성 (erdcloud, supabase)데브코스에서의 첫 팀 프로젝트로여행 계획 및 추천 플랫폼을 개발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약 3주간의 학습 내용으로는프론트 : React, next.js백엔드 : MySQL, supabase정도였고, 이를 활용하여 아웃풋을jooky.tistory.com지난 글에 이은 여행 프로젝트 2탄을 시작해보겠다. 사실 예고했던 기능들의 구현 과정을 먼저 남기려 했지만Custom Search API를 드디어 활용할 수 있다는,따끈따끈한 뿌듯함을 참을 수 없었기에 순서에 변동이 생겼다. 구글의 지도 API는 많이들 활용 하는 것 같았지만검색 API는 그에비해 활용도가 떨어지나...? 싶었다 (자료가 많이 안나와...) 어쨌든 API를 활용한 .. 2025. 7. 24. 여행 프로젝트 1탄 - DB 설계, 생성 (erdcloud, supabase) 데브코스에서의 첫 팀 프로젝트로여행 계획 및 추천 플랫폼을 개발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약 3주간의 학습 내용으로는프론트 : React, next.js백엔드 : MySQL, supabase정도였고, 이를 활용하여 아웃풋을 내며 체화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사실 React에 많은 비중이 실려있었고, 백엔드 과정이지만 정말 꼭 필요한 과정이었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번 프로젝트의 기간은 일주일이었고,일주일밖에 되지 않는 짧은 기간동안 대체 뭘 할 수 있을까 + 잘못된 기간선정이 분명하다 라는 생각이었지만Readdy와 v0.dev가 끝도없이 뱉어내는 많이 미친 결과물을 보자마자 아주 잘못되고 게으른 생각을 했던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었다. 눈 감았다 뜨면 일주일 지나있고 발표하고 있을게 눈에 훤해개발 과정 .. 2025. 7. 17. Git 사용법 프로젝트 시작 1. 깃 설치 git init 2. 생성한 원격저장소 repository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링크 3. 연결 확인 git remote -v Branch(브렌치) 1. 현재 브렌치 확인 git branch 2. 브렌치 생성 git branch 브렌치명 3. 브렌치 변경 git checkout 변경할브렌치명 4. 원격저장소에 브렌치 추가 git push --set-upstream origin 브렌치명 Commit(커밋) 1. 커밋할 파일 선택(전체) git add . 2. 커밋 git commit -m "코멘트" Push(푸시) 1. 커밋 내용 원격 저장소에 푸시 git push origin 브렌치명 2. non-fast-forward 에러 발생 시 Pull(풀) 에러.. 2022. 11. 26. AWS ELB(Elastic Load Balancing)를 이용한 서버 트래픽 분산 ELB에 대한 실습을 진행하다가 나중에 분명히 도움이 될 것 같아 글을 쓰게됐다. 웹 트래픽이 증가할 때 이에 대한 처리 방식으로는 스케일아웃(Scale out) / 스케일업(Scale up) 으로 나눌 수 있다. 스케일아웃은 서버의 개수를 늘리는 처리방식이고, 스케일업은 한대의 서버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다. AWS의 ELB(Elastic Load Balancing)는 스케일아웃에 해당한다. 이론은 정말 간단하다. 동일한 ec2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해 트래픽을 배분하는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도메인을 부여받고, 해당 도메인으로 request를 보내면 Load Balancer가 각 인스턴스로 알아서 배분해 이를 처리한다. 사실 인스턴스 자체의 cpu성능이나 용량을 키우면 어지간한 트래픽은 감당할 수.. 2022. 11. 2. CSS 활용 2편 (CSS 태그 배치) 지난글에 이은 CSS 활용 2탄이다. 목차 1. CSS 박스 유형 제어 display 2. CSS 박스 위치 지정 position 3. 기타 1. CSS 박스 유형 제어 display html의 태그는 블록 태그와 인라인 태그로 나뉜다. 대표적으로는 블록 박스, 은 인라인 박스를 출력한다. display 프로퍼티로 박스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블록 박스 display : block 인라인 박스 display : inline 인라인 블록 박스 display : inline-block 항상 새 라인에서 시작 새 라인에서 시작 못하고 라인 내에 위치 새 라인에서 시작 못하고 라인 내에 위치 블록 박스 내에만 배치 모든 박스 내 배치 가능 모든 박스 내 배치 가능 옆에 다른 요소 배치 불가능 옆에 다른 요소 .. 2022. 10. 11. 이전 1 2 3 다음